세계화는 … 일방적인 아이디어와 사물의 교류가 아니며 요리의 정체성이 결여된 주변에 대한 유럽-아메리카로부터의 가치체계 확장은 더더욱 아니다.
(Counihan and Van Esterik, 2013: 7)
역사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화인민공화국의 55개 공식적인 소수민족 가운데 하나인 다이 족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만큼 결정적으로 ‘주변화’되거나 ‘고립’된 적은 없었다. 그와 반대로 다이 족은 오랜 기간 중국의 다른 민족 및 세계의 여러 민족과 교류해왔다. 과거 전통왕조시대부터, 세계화와 국가 권력이 대면하여 형성하는 생태적·사회적·정치적 틈새에서 다이 족은 더 큰 사회적 맥락에 통합되면서 동시에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추구해갔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의미있는 사회문화적 결과를 가져온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인류학자들은 이러한 변형 과정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을까?
음식체계(음식문화, 식량 조달과 생산, 배분, 소비와 그에 따르는 결과들)는 이러한 연구를 시작하기에 매우 좋은 소재다. 그 이유는 생명을 지탱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사회와 문화의 변형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며 지역 주민들이 전통을 버리고 글로벌 음식문화 트렌드와 라이프스타일을 따르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Messer, 1997: 117). 음식체계를 탐구하는 민속지학적 연구는 매우 다채로운 테마에 집중하였다. ① 식량 생산의 생태학적인 배경과 인구 증가, 생산과 가공 기술의 혁신, 문화 적응과 혼종성이 이끄는 식품의 변화, ② 다른 문화의 다양한 식품 분류 방법, ③ 식량 분배의 사회적 규율과 식품을 통해 드러내는 사회적 지위와 정체성(계급, 민족, 카스트 등), ④ 식량 섭취의 형태에 따른 영양과 건강(Quandtand Ritenbaugh, 1986; Griggs, 1988), ⑤ 정치경제적 권력의 변화와 식량생산 및 소비의 관계 등이다(Harris, 2001, Messer,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