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인홍 (중국 칭화대학 언론정보학부)

 2012년, 전 세계 영화 상황을 돌아볼 때,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 증가는 7%에 불과했으나 중국 영화 박스오피스는 10년 연속 30% 이상 증가한 가운데 27억 달러가 넘는 박스오피스를 기록, 세계 제2의 영화시장이 되었다. 향후 5년간 중국 영화는 스크린 수 2만 5,000개, 연 박스오피스 450억 위안에 달해, 기존 양의 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속적으로 커지는 시장은 당연히 수준 높은 영화의 공급을 필요로 하고 있다. 아울러, 할리우드 영화의 수입량 증가는 중국 영화에 자극이 되는 동시에 중국 영화의 경쟁력을 위협하는 요소가 아닐 수 없다.

 중국 본토 영화시장의 할리우드 영화에 대한 의존도는 아시아 주변 국가인 일본이나 한국에 비해 훨씬 높다. 이는 중국 국산 영화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중국 국산 영화는 여전히 고대 무협 장르에 상업성을 결합한 오락형 블록버스터에 머물러 있어 예술적 크리에이티브와 기술적 시도가 부족하다. 코미디나 공포물 외에 비중 있는 장르의 영화가 거의 생산되지 않으며 3D, 대형 스크린을 활용한 하이테크 영화의 수가 적고 질이 떨어진다. 2D 영화도 전체 제작 수준이나 기술 수준 면에서 국제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또한 중저예산 영화(예술영화)의 경우 휴머니즘, 사회, 현실, 역사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고, 성찰이 수준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표현력 또한 부족해서 예술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 영화제 등에서 주목 받지 못하고 있다.

 중국 영화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부 관리 부분과 사회 각 방면에서 예술의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존중이 필요하다. 다양한 소재를 발굴하게 하고 이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빠른 시일 내에 영화등급제를 도입해서 효율적으로 미성년자들을 보호한다는 전제 하에, 영화의 소재와 표현의 영역을 넓혀야 한다. 지속적으로 산업을 개방하는 정책을 통해 영화제작사를 지원하고, 특히 민영 영화제작사가 기업 간, 국가 간 효율적인 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좀 더 크고 강하고 질이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화 전문 서비스 기업, 기술적 기업을 육성해 중국 영화의 관리운영 수준과 공업화 수준을 전면 제고해야 한다. 아울러 디지털화, 글로벌화, 스페셜화에 적합한 영화 제작, 영화 창작, 영화 관리 전문 인력을 육성해, 중국 영화의 발전을 위한 지적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