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권오영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최영은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석사과정)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외교와 통상 분야의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 나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지식은 답보상태다. 특히 선사 와 고대의 역사, 문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ODA 사업의 형태로 불탑, 사원 등에 대한 복원사업이 진행되면서 미술사와 건 축학 분야에서는 작으나마 변화의 조짐이 보여 희망적이다.

한국사에서는 해상실크로드의 형성, 고대 국가 형성 과정 비교 등의 목적을 띠고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권오영, 2019). 고고학 분야에서는 유리구슬과 홍옥수 로 만든 장신구가 원거리 유통되는 과정, 그리고 영산강유역의 대형 전용 옹관 과 베트남 중부 사 휜(Sa Huynh) 문화 옹관과의 비교 등이 연구 대상이 되었다. 특히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에서는 옹관문화를 바탕으로 영산강유역 고대사회 를 이해하고 주변국과 비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정리하고 있 으며, 그 일환으로 베트남의 옹관묘에 대한 현지 조사와 자료 집성을 수행하였 다(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6). 또한, 베트남 옹관묘에 나타난 장송의례적인 요소 를 검토하고, 영산강유역의 사례와 비교하는 연구도 이루어졌다(최미숙, 2020).

그 결과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사 휜 문화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었으나, 한 편으로는 동남아시아의 선사-고대 문화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사 휜 문화의 옹관이 매우 특징적이고 영산강유역 옹관과 비교할 만한 부분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사 휜 옹관이 동남아시아 전체의 묘제와 장제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사 휜 문화와 유사하거나 관련성이 있는 문화 이외에도 수많은 지역문화가 동남아시아 각지에서 발전하였으며 각기 특징적인 묘제와 장제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포괄적 이해 없이 사 휜 옹관과 영산강 유역 옹관을 직접 비교하는 작업은 금방 한계에 부딪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