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쓰끄리땀과 암벧까르(Ambedkar)의 소환 그리고 고대사 재구성과 인도 현대 정치의 규정요소로서의 언어 쌍쓰끄리땀과 암벧까르(Ambedkar)의 소환 그리고 고대사 재구성과 인도 현대 정치의 규정요소로서의 언어admin2023-01-02T15:54:59+09:00
세계생태와 역사적 자본주의의 구체적 총체성: 세계체계 분석의 지속 혹은 변신? 세계생태와 역사적 자본주의의 구체적 총체성: 세계체계 분석의 지속 혹은 변신?admin2024-09-09T15:37:12+09:00
미국헤게모니 형성기 동아시아 국가간체계 질서의 변동: 월러스틴의 이론 자원으로 검토한 냉전 형성 과정과 중국 변수 미국헤게모니 형성기 동아시아 국가간체계 질서의 변동: 월러스틴의 이론 자원으로 검토한 냉전 형성 과정과 중국 변수admin2024-09-09T15:37:23+09:00
21세기 문명위기와 세계체제론: 이매뉴얼 월러스틴(I. Wallerstein)의 비교역사적 전망 21세기 문명위기와 세계체제론: 이매뉴얼 월러스틴(I. Wallerstein)의 비교역사적 전망admin2024-09-09T15:37:28+09:00
마루야마 마사오의 관점에서 읽는다: 박훈, 『메이지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을 읽고 마루야마 마사오의 관점에서 읽는다: 박훈, 『메이지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을 읽고admin2023-01-02T15:52:22+09:00
소련의 유산: 이슬람과 민족주의의 균형, 그리고 더딘 민주화: 신범식 외,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현재: 정치 · 사회 · 경제적 선택』를 읽고 소련의 유산: 이슬람과 민족주의의 균형, 그리고 더딘 민주화: 신범식 외,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현재: 정치 · 사회 · 경제적 선택』를 읽고admin2023-01-02T15:52:29+09:00
한국 동남아시아 지역 연구의 성과와 한계, 과제: 안청시 외, 『한국의 동남아시아 연구: 역사, 현황 및 분석』를 읽고 한국 동남아시아 지역 연구의 성과와 한계, 과제: 안청시 외, 『한국의 동남아시아 연구: 역사, 현황 및 분석』를 읽고admin2023-01-02T15:52:36+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