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카자흐스탄 권력승계 연구: 권력복점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2019년 카자흐스탄 권력승계 연구: 권력복점의 제도화를 중심으로admin2023-01-02T15:52:43+09:00
1950년대 중후반 남·북한의 ‘중립국’ 외교의 전개와 성격 :동남아시아·중동·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1950년대 중후반 남·북한의 ‘중립국’ 외교의 전개와 성격 :동남아시아·중동·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admin2023-01-02T15:52:49+09:00
양안결혼(兩岸結婚)과 대륙배우자의 등장: 이주시 기별 분화를 중심으로 양안결혼(兩岸結婚)과 대륙배우자의 등장: 이주시 기별 분화를 중심으로admin2023-01-02T15:52:56+09:00
중국과 베트남의 육상협력과 해상갈등의 지정학: 양국 육상연계성 협력의 전략공통분모 탐색 중국과 베트남의 육상협력과 해상갈등의 지정학: 양국 육상연계성 협력의 전략공통분모 탐색admin2023-01-02T15:53:04+09:00
중국의 사이버 안보전략과 북한에의 적용: 정체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중국의 사이버 안보전략과 북한에의 적용: 정체성과 인식을 중심으로admin2023-01-02T15:53:10+09:00
한국의 자산기반복지와 조세⋅ 복지정치: 역사와 전망: 김도균, 『한국복지자본주의의 역사: 자산기반복지의 형성과 변화』를 읽고 한국의 자산기반복지와 조세⋅ 복지정치: 역사와 전망: 김도균, 『한국복지자본주의의 역사: 자산기반복지의 형성과 변화』를 읽고admin2023-01-02T15:50:30+09:00
아시아 시민사회와 아시아개발은행의 책무성 줄다리기, 누가 승자인가: 김태균, 『대항적 공존』을 읽고 아시아 시민사회와 아시아개발은행의 책무성 줄다리기, 누가 승자인가: 김태균, 『대항적 공존』을 읽고admin2023-01-02T15:50:35+09:00
메콩을 보는 다채로운 시선과 세 가지 관점: 윤순진 외, 『메콩유역 개발과 환경 협력의 딜레마와 거버넌스』를 읽고 메콩을 보는 다채로운 시선과 세 가지 관점: 윤순진 외, 『메콩유역 개발과 환경 협력의 딜레마와 거버넌스』를 읽고admin2023-01-02T15:50:40+09:00